시인(詩人)이 아니라도 세모(歲暮)가 되면 공연히 마음이 적막(寂寞)해 진다. 먼 여행이라도 떠나야 할 것 같고, 혹은 돌아 온 것도 같고......그런 심경(心鏡)이다. 시간은 무슨 신비로운 힘을 숨기고 있으면서 때때로 우리의 생각과 마음에 이렇게 파문을 던진다.

우리는 흔히 ‘새로운 역사를 위해’라고 말한다. 역사는 언제나 과거와 함께 있다. 그래서 과거와의 대화가 곧 역사라고도 말한다. ‘새로운 역사’란 곧 지난 일들과의 대화 속에서 새로움을 찾자는 뜻이기도 하다. 시간이 쉬지 않고 흘러가는 것은 그런 것에 의미가 있다.

지난 일들이라고 모두 휴지처럼 버려야 할 필요는 없다. 그 가운데는 보람스럽고 값어치 있는 일들도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역사’란 지난 일들 속에서 잘못된 것을 반성한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시간은 언제나 촌각이 새롭다. 우리는 지난 일들과의 대화를 통해 새로움을 찾아야 할 것이다. 새로움을 찾지 못하는 시간의 운행은 어두운 죽음으로 가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한나라는 물론이며, 우리의 사회, 우리 자신의 삶에 있어서도 그렇다.

한해가 가고, 또 한해가 오는 것은 물리적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아니다. 그 태양이 그 전과 다름없이 동녘에서 솟을 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내일의 태양을 어제의 그것으로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다. 무엇인가 새로움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새로움이란 느닷없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어제와 다르면 그것이 바로 새로움일 수 있다. 제야는 지난일들과 매듭을 짓는 순간이다. 결단이라고 해도 좋다. 각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는 시간의 끝도 없는 대하(大河)에 실려 가면서도 때로는 그 흐름에 거역하면서, 때로는 새로운 물굽이를 맞을 줄도 알면서 살아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상의 모든 음향 중에서도 가장 장엄하고 감회 깊은 것은 묵은 해를 올려 보내는 제야의 종소리다. 그것은 다시 생각조차 하기 싫은 일들과 고별하는 경종이며, 새로움을 알려주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뗑그렁 울릴 때 마다 우리는 후련한 통쾌함을 느낀다. 어두운 과거를 끊어 버리는 통쾌함이며, 새 아침을 맞는 기대이기도 하다.

벗이여, 어제의 우리는 찬 손만을 주고받았지. 저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마음을 덥히고, 손을 따뜻이 하고 내일을 맞자. 어두운 어제는 영원히 나락으로 떨쳐 버리고 새해에는 새 마음, 새 각오로 어제와는 다르게 살자. 뗑그렁, 어둠이여, 영원히...

키워드

#N
저작권자 © 금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