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봄에 찍어둔 해운대 달맞이 벗꽃입니다.
*지난해 봄에 찍어둔 해운대 달맞이 벗꽃입니다.

화창한 날씨다。한기(寒氣) 속에서도 춘의(春意)는 감출 수 없다. 아파트의 산당화(山棠花)는 어느새 새 눈이 통통하게 부풀어 있다. 목련(木蓮)의 꽃자리도 솜털에 윤이 난다.

시후(時候)를 잊지 않고 계절(季節)만은 여전하다. 옛글에 보면 겨울은 다른 삼계(三界)의 휴지기(休止期)다. 말하자면 계절의 변전(變轉)에 「코머」 하나를 찍고 잠시 쉬는 시기(時期)인 셈이다. 따라서 봄은 천의(天意)가 자연(自然)에 순종하는 계절이라고 했다. 다른 계절들이 서사시(敍事詩)라면 봄은 사뭇 서정시(抒情詩)의 경지다.

우리의 생활(生活)도 계절(季節)의 변환(變換)처럼 좀 「리드미컬」했으면 좋겠다. 사람에겐 추상(秋霜)같은 자세도 필요하지만, 때로는 천의(天意)가 자연에 순응하듯 춘기(春氣)의 「리듬」도 가져봄직하다.

옛사람들은 『마음은 가을 정신으로, 행동은 봄의 정신으로 하라』고 가르쳤었다. 화신(花信)은 아직도 지평선(地平線) 저 쪽에 머물러 있지만 우수(雨水)지나면서 서서히 발길을 떼기 시작한다.

기온이 영상(零上) 5도에 이르면 수목들도 심호흡(深呼吸)을 한다. 수액(樹液)이 오르고 생기(生氣)를 찾는 것이다. 기상청의 기록을 보면 2월 중순께부터 화신(花信)은 하루 20km의 속도로 북상(北上)한다. 제주도의 경우 어느새 산수유가 피기 시작하는 것이다. 금방 그 뒤를 따르는 매화전선(梅花前線)은 2주 정도면 부산에 상륙, 줄달음을 친다. 한반도는 이제 화신권(花信圈)에 접어든 셈이다.

매화를 뒤 쫓는 화신은 개나리, 한달쯤의 시차(時差)를 두고 물들이기 시작한다. 개나리 전선이 지나가면 그 뒤엔 갖가지 꽃들이 앞을 다투어 따라 간다. 진달래, 벚꽃이 숨이 차서 달음박질 쳐온다. 이런 꽃전선(前線)의 상공(上空)에는 제비들이 있다.

중국의 어느 문인(文人)은 꽃과 달과 미인(美人)이 없으면 이 세상에 태어날 생각은 아예 하고 싶지 않다고 노래한 일이 있었다. 순정파(純情派)치고는 좀 지나친 것 같지만, 그런 것이 없는 세상을 생각하면 지나친 감상(感傷)만도 아닐 것이다. 추운겨울이 지나도 봄이 오지 않는다는 생각은 상상(想像)만 해도 삭막하다. 몸도 마음도 추워진다.

봄의 새들이 파랑파랑 하늘을 나(飛)는 생명감(生命感), 꽃들이 자유분방하게 피어나는 정감(情感마저 느낄 수 없는 일상(日常)이라면 실로 우리의 고달픔은 어디서 위로(慰勞)를 받겠는가.

이제 봄은 우리 곁에, 그런 봄은 이제부터 나래를 펴기 시작한다.

저작권자 © 금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