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단(元旦)이란 사람들은 누구나 한 번씩은 생각하는 것이 있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람은 명예와 욕망(欲望)의 충족이 마치 인생의 목적인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행복을 발견하는 하나의 수단과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

프랑스의 사상가‘몽테뉴’는 그의 수상록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불행이란 그 태반이 인생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비롯된다.’ 행복은 그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사람들은 이따금 ‘청부인생(請負人生’을 꿈꾼다.

중국의 우화(寓話)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지옥에 빠진 한 사나이가 염라대왕에게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니면 재생(再生)을 시켜 주어도 싫다고 말한다. ‘고관(高官)의 아들로 태어나서 1만정보의 땅과 연못과 곡식과 황금과 착한 아내와 첩을 거느리고 1백살까지 살며 고관의 아들을 두지 않으면.....’

그러자 염라대왕은 대답했다. ‘이 사람아, 그러면 내가 태어나지!’ ‘러시아’의 문호 ‘도스토예프스키’는 ‘악령(惡靈)이란 소설에서 그런 몽상가((夢想家)들에게 찬물을 끼얹는다. ’인간이 불행하다는 것은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모르는 까닭이다.‘ 그는 인간에게는 행복이외에 그와 똑같은 불행이 항상 필요하다고 본다.’

청나라의 위대한 문예비평가 김성한(金成暵)이 읊은 ‘행복한 한때에 관한 33절’은 몽상가들에겐 허황하기 짝이 없을 것이다. “그 누가 날리고 있던 연(鳶)줄이 끊어 졌을 때” “창문을 열고 왕벌을 쫓아냈을 때” “함박눈이 펄펄 내리고 있을 때” “물건 값을 깎을 때“ “채용증서를 불태을 때” “못된 여석이 죽었을 때” “참나무를 톱으로 켜는 소리를 들을 때”....

“행복은 좀 고답적으로 말하면 관능적(官能的)인 감수성(感受性)의 결과이지 결코 쟁취(爭取)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의 작가‘카뮈’는 그의 문학수첩(文學手帖)에서 “행복이란 그 자체가 긴 인내(忍耐)라고 고백하고 있다.

“불행(不幸)은 행복(幸福)위에 서고, 행복(幸福)은 불행(不幸)위에 눕는다.” 는 노자(老子)의 생각과도 통한다. 독일의 서정시인(抒情詩人)‘하이네’는 차라리 행복을 조소(嘲笑)한다.“행복은 바람난 창부(娼婦)이다. 같은 장소에 다소곳이 머물러 있지를 않는다.”고.

우리는 결코 행복, 행복하고 초조해하며 애를 태울 것은 없다. 그것은 오히려 심통(心痛)만 더 할 뿐이다. 인생의 교향곡(交響曲)은 마음의 청빈(淸貧)과 정익(靜謚)과 정신적(精神的) 만족(滿足)으로 이루어 질 때 아름다운 ‘피날레’를 장식할 수 있다. 올해는 저마다 행복한 한 해를 작곡(作曲)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