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중'의 '나의 논어'(금정신문 소장)
*'홍사중'의 '나의 논어'(금정신문 소장)

 

말이란 시간의 흐름과 함께 크게 달라진다. 그 뜻이 달라지는 것도 물론이다.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가령, 우리가 흔히 쓰는 명구에‘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는 게 있다. 예술가의 일생은 짧지만 그 가 남긴 작품의 생명은 영원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을 제일 먼저 했다는 ‘히포크라스테스’는 그런 뜻으로 쓰지 않았다. 그는 그저 ‘사람의 일생은 짧고 기술을 배우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러니까 부지런히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타일렀을 뿐이다.

오래전 중국 신강성(新彊省)에서 발굴된 당대 초기고문에서 논어의 이른바 ‘정현(鄭玄)-후한시대의 대학자)’텍스트‘가 발견되었다. 것도 12세 소년이 서당에서 배운대로를 필사(筆寫)한 진귀한 원본이다.

이것을 보면 공자의 말도 상당히 곡해(曲解)되어 온 것 같다. 외신에 의하면 ‘조문도(朝聞道). 석사가의 (夕死可矣)’라는 구절의 정현鄭玄 ‘텍스트’에서는 君子란 늘 道를 찾아 언제까지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것을 우리는 오늘날 까지 아침에 도를 밝힐 수만 있다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없다고들 풀이해 왔다.

원래가 ‘論語’란 공자의 제자들이 후에 엮은 언행록(言行錄)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구어체(口語體)였던 것이 여러 시대를 거치는 동안 많은 주석(註釋)들이 나오고, 그 사이에 오늘 날 전해지고 있는 바와 같은 문어체(文語體)로 바뀌어졌을 것이다. ‘如朝聞道.則夕雖死可矣(여조문도, 칙석수사가의)’가 ‘조문도(朝聞道). 석사가의 (夕死可矣)’라고 간결한 ‘리듬’을 탄 말로 바뀌어진 것도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정현(鄭玄)의 주해본은 논어의 정본(定本)이라고도 할 만하다. 따라서 논어의 연구에 신기원을 획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학계에서는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정현‘텍스트’라고 공자의 말뜻을 완벽하게 정확히 전해주고 있다고 얼마만큼이나 믿어도 좋을지...,

‘오늘의 삶을 다 알지도 못하는데 하물며 어떻게 내일의 죽음을 예기 할 수 있겠느냐’ 또는 신(神)을 모시는데 있어서는 마치 신이 존재하는 것처럼 여기면서 모셔라‘고 말한 공자는 분명 현실주의자요, 懷疑主義者(회의주의자)이기도 했다. 그런 공자와 언제까지의 우리네 儒學者(유학자)들이 키워낸 공자의 ’이미지‘와는 매우 다르다.

중국에서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받으면서도 孟子(맹자)조차 공자의 그늘 밑에만 머물러 있지 않았다. 荀子(순자)는 공자와 대립되는 老莊思想(노장사상)까지 받아들이기를 서슴치 않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권력에 밀착되었던 朱子學(주자학)만이 학계를 주름잡았었다. 宋時烈(송시열)에게 비판적이던 尹白湖(윤백호)는 비극을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리하여 우리네 학계는 내내 발전의 ‘에너지’를 잃어버렸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비단 공자학에만 한정되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저작권자 © 금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