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춘분이라지만 아직도 아침 바람은 제법 싸늘하다. 그럴 수 밖에 없다. 겨울을 끼고 있기는 봄이나 가을이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봄의 평균 기온은 가을보다 10도 가량이나 낮은 게 보통이다.

그래도 봄이려니 하고 기뻐 하는 것이다. 그러면 몸도 마음도 훈훈해 지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봄의 시에는 어딘지 모르게 너그러운 데가 있다. 같은 사랑의 시라도 가을에는 실연을 주로 하고 봄에는 사람의 설렘임을 노래한다.

 정호승 시인이 시  '꽃을 따르라' 를 빌려온다. /돈을 따르지 말고 꽃을 따르라. 봄날에 피는 꽃을 따르지 말고 봄날에 지는 꽃을 따르라. 벚꽃을 보라. 눈보라처럼 휘날리는 꽃 잎에 봄의 슬픔마저 찬란하지 않으냐. 돈을 따르지 말고 지는 꽃을 따르라. 사람은 지는 꽃을 따를 때 가장 아름답다./ 이런 시를 어떻게 썻을 까" 조우할 수 있으면 이시를 시인이 읊고 나는 듣고 싶은 마음이다. 이게 나이 탓이려니 하고 그 시를 읊조리며 이글 을 쓴다.

 시는 동양이나 서양이나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동양의 시인들은 같은 봄이라도 무조건 반기지는 않는다. 어딘가 애수의 눈으로 봄을 보는 버릇이 있다.

...푸른 들은 햇볕에 잠들고 제일 나이든 사람이나 제일 젊은 사람이나 제일 힘 센 사람과 함께 일한다...,

「워즈워드」의 3월의 시다. 이 속에는 조금도 그늘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근로의 즐거움과 자연에의 고마움이 있을 뿐이다.

 서양의 시인들은 낙엽지는 가을이 되어야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했다. 동양의 옛 시인들은 새싹이 트는 봄에 이미 짧은 인생을 서러워 했다. 어찌보면 그만큼 탐욕적이었다고 볼 수도 있다. 너무나도 봄이 아름답기에 언제까지난 봄을 즐기고 싶은 생각이 난다는 방어적인 뜻도 있을 것이다.

 조조는 '단가행'이라는 시에서 인생을 짧을 바에야 빨리 뜻을 얻어 출발해야겠다고 노래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봄은 같다. 인생의 길에도 변함은 없다. 그러나 봄을 보는 보는 눈만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가 보다.

저작권자 © 금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